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시작은 미미하지만, 끝은 창대하리라.

     

     

    “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…”
    — 『훈민정음 서문』, 세종대왕

    578년 전, 한 문장이 세상을 바꾸었다.

    “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.”

    세종은 다름을 부정하지 않았다.
    비교하지 않았고,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,
    중국처럼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도 않았다.

    다름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순간,
    새로운 문명이 시작되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🌱 다름에서 시작된 평화

    우리는 빨리빨리 민족이다.
    세종대왕도 그러하다 했다.

    그래서 우리는 다름이 불편하다.
    다름이 갈등이 되고,
    다름이 분쟁이 된다.

    그러나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.

    다르기에 섬세해질 수 있다.
    다르기에 완벽을 기할 수 있다.

    그 생각의 전환이 한글을 만들었다.
    그 선택이 평화에 다가가는 첫걸음이었다.


    💬 말할 수 있어야, 존재할 수 있다

    세종대왕은 보았다.

    “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,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.”

    글이 없다는 것은
    마음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.

    그저
    말할 수단이 없었을 뿐이다.

    그래서 세종은 누구나 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었다.
    배우지 못해도, 권력이 없어도,
   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.

    한글은 단순한 기호가 아니었다.
    표현의 자유이며, 존재의 증거였다.

    • 내 이름을 쓸 수 있게 되었고,
    • 내 마음을 글로 남길 수 있게 되었으며,
    • 내 존재를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.

    그것은 곧 존엄이었다.


    🪶 표현은 공감으로 이어진다

    처음으로 한글을 배운 사람이 이렇게 썼다.

    “보고 싶다.”
    “슬프다.”
    “고맙다.”

    그리고 그 글을 읽은 또 다른 누군가가 말했다.

    “나도 보고 싶다.”
    “나도 슬프다.”
    “나도 고맙다.”

    마음이 이어졌다.
    표현은 공감이 되었다.

    한글은 마음을 담아주는 그릇이 되었다.
    마음이 글이 되고, 글이 마음을 움직였다.

    그것이 평화였다.

     

     


    🌸 강요 없는 조화

    누가 시킨 것도 아니었다.
    법으로 강제하지 않았고,
    권력은 무시했지만 백성은 한글을 택했다.

    왜냐하면 좋았기 때문이다.
    쉽고, 편하고, 내 것이었기 때문이다.

    억지로 같아지지 않아도
   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다는 것.

    이것이 진짜 평화였다.


    🔥 500년의 지킴

    한글은 만든 것으로 끝나지 않았다.
    499년 동안 지켜낸 문자였다.

    비웃음을 받아도, 금지당해도,
    감옥에서도 사전을 만들었다.

    그것이 우리였다.

    “이게 나야.”

    그 한마디를 잃지 않기 위해
    목숨을 걸었다.

    평화는 선언이 아니라,
    끊임없이 지켜내는 선택이다.


    🌏 한글이 평화를 깨워준다

    한글이 걸어온 길은 곧 평화의 길이다.

    • 다름을 인정하고
    • 스스로의 목소리를 찾고
    • 강요 없이 어울리고
    • 포기하지 않고 지켜내는 길

    그 길 위에서
    한글은 우리 안의 평화를 깨워주었다.

    잊고 있던 존엄을,
    묻혀 있던 마음을,
    그리고 서로를 향한 이해를 일깨워주었다.


    🕊 지금 이 순간의 한글

    오늘 우리는 너무도 자연스럽게
    한글로 말하고,
    한글로 쓰고,
    한글로 생각한다.

    하지만 이 ‘당연함’은 기적이다.

    한 사람의 고민이 세상을 바꾸었고,
    수많은 사람의 지킴이
    오늘의 평화를 만들었다.

     

     


    🌸 그래서, 한글은 평화다

    한글은 언어가 아니다.
    한글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.
    그리고 평화를 깨우는 문자다.

    • 누구나 배울 수 있고
    • 누구나 쓸 수 있으며
    • 누구나 자신의 존재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

    한글은 문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.
    인류의 문맹을 없애고,
    표현의 자유를 주며,
    평화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.

    따라서 한글은

    인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독보적인 문화 자산이다.


    🕊 한글. 글이 없는 모든 이의 마음의 소리.

     

     

    세종은 글이 없던 사람들에게
    글을 건네주었다.

    목소리가 없던 사람들에게
    목소리를 건네주었다.

    글이 없다는 것은,
    마음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.

    그저 전할 도구가 없었을 뿐.

    한글은 그 마음에 길을 열어주었다.
    소리 없는 이들에게 목소리를 주었고,
    목소리가 없는 이들에게 세상을 주었다.

    🕊 한글.
    글이 없는 모든 이의 마음의 소리.


    ✍️ 이제, 우리가 이어갈 차례다.

    한글이 걸어온 길 위에서
    우리는 평화를 걷고 있다.

    반응형